나는 한동안 빠르게 걸었다. 목표에 도달하는 것만이 중요한 듯, 풍경도, 사람도, 나 자신조차도 스쳐 지나갔다. 한국 사회에서의 속도는 일종의 규범처럼 체화되어 있었고, 나는 그 속도를 거스르기 위해 걷기 시작했다. 그것은 ‘순례’라는 이름을 가진 길 위의 여행이었다.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종교적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. 오히려 내가 주목한 것은 ‘왜 걷는가’라는 질문에 대한 수많은 비종교적 답변들이었다.
《Nonlinear》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'Camino' 위에서 만난 이들의 초상과 풍경을 통해, 길 위에서 흔히 간과되는 감정, 이야기, 몸의 리듬을 기록한 작업이다. 이 시리즈는 선형적 목적지로 향하는 길이 아닌, 감정과 기억이 비선형적으로 겹쳐지는 공간으로서의 ‘길’을 탐구한다. 나와 마주친 이들 중 다수는 삶의 전환기에 있었다. 이별, 실직, 병, 혹은 단지 무엇인가로부터의 ‘탈주’ — 이 길은 그들에게 하나의 비가시적인 쉼터였다. 나는 그들의 걸음을 따라가며, 존재가 회복되는 시간의 속도를 포착하려 했다.
사진은 종종 사건을 포착하는 도구이지만, 나는 이 작업을 통해 ‘사건’ 이전과 이후에 존재하는 침묵과 기다림의 결을 포착하고자 했다. 《Nonlinear》는 특정 인물의 전기가 아니라, 시간의 틈에서 흘러나오는 ‘느림’의 표정들이고, 그 표정을 담기 위한 나의 속도 조절이기도 하다.
또한 이 작업은 내가 속한 한국 사회의 속도 규범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. ‘빨리빨리’라는 말은 단순한 생활 태도가 아니라, 시간에 대한 인식 자체를 강제하는 말이다. 나는 이 작업을 통해 “빠름”의 기준에서 벗어나, 걷기를 통해 드러나는 관계성과 감각을 회복하고자 했다. 걷는다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을 통과해 타인에게 도달하는 행위라고생각했다.
《Nonlinear》는 완성된 대답이 아니다. 다만 몇 개의 질문이 머무는 자리이다. 우리는 어디를 향해 걷고 있는가. 누구와, 무엇을 잃고, 또 무엇을 품고. 나는 이 사진들을 통해 떠도는 걸음의 궤적을 남기고 싶었다. 목적지 없이 걷는 그들의 발끝에서, 나는 지금의 세계를 벗어나려는 몸짓 그리고 속도와 통제를 이탈한 흔적을 보았다
For a while, I walked fast. As if reaching the destination was all that mattered, the landscape, the people, even myself—everything passed by in a blur. In Korean society, speed had become embodied as a kind of norm, and I began walking to resist that speed. It was a journey on a path called "pilgrimage." But this project is far from religious purpose. Rather, what I paid attention to were the countless non-religious answers to the question "Why walk?"
Nonlinear is a work that records the emotions, stories, and bodily rhythms often overlooked on the road, through portraits and landscapes of people I met on the Camino in Spain and Portugal. This series explores "the road" not as a linear path toward a destination, but as a space where emotions and memories overlap nonlinearly. Many of those I encountered were at turning points in their lives. Separation, job loss, illness, or simply an "escape" from something—this road was an invisible shelter for them. Following their steps, I tried to capture the tempo at which existence recovers.
Photography is often a tool for capturing events, but through this work, I sought to capture the texture of silence and waiting that exists before and after "the event." Nonlinear is not a biography of specific individuals, but rather expressions of "slowness" flowing from the gaps in time, and my own adjustment of speed to capture those expressions.
This work is also a question about the speed norms of Korean society to which I belong. The phrase "ppalli ppalli" (hurry hurry) is not simply a lifestyle attitude, but a phrase that forces a perception of time itself. Through this work, I wanted to move away from the standard of "fast" and recover the relationality and sensibility revealed through walking. I thought that walking is ultimately an act of passing through oneself to reach others.
Nonlinear is not a completed answer. It is merely a place where several questions rest. Where are we walking toward? With whom, what have we lost, and what do we hold? Through these photographs, I wanted to leave traces of wandering steps. At the toes of those walking without destination, I saw gestures attempting to escape the present world—traces that had departed from speed and control.